로고

【연재 205】 이용주 선생이 이야기하는 ‘우리 주변의 아름다운(약용) 식물’

◦ 비비추 Plantain lily, Hosta
◦ 비수리 Sericea lespedza

조민환 기자 | 기사입력 2024/05/21 [07:39]

【연재 205】 이용주 선생이 이야기하는 ‘우리 주변의 아름다운(약용) 식물’

◦ 비비추 Plantain lily, Hosta
◦ 비수리 Sericea lespedza

조민환 기자 | 입력 : 2024/05/21 [07:39]

 

▲ 이용주 선생     ©골든타임즈

 

 

이용주 선생이 20여 년 동안 주변에서 자생하는 아름다운 식물들에 대해 모아온 자료를 골든타임즈(Golden times)를 통해 독자들에게 선보고 있다.

 

이용주 선생은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강릉농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칼빈신학대학, 총신대학 대학원 석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 미국 콩글리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목회 활동을 펼쳐오다 현재는 시흥시 매화동에서 일상적인 삶을 누리고 있다.

 

 

 

비비추 Plantain lily, Hosta

 

 

 


1.
생태적 특성

 

산지의 냇가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높이 3040cm이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89맥이 있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3040cm이다. 포는 얇은 막질이고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검은색으로서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연한 순을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야생종은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비비추는 원예종으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외국에서 정원식물로 인기가 높다.

 

 

 


2.
학명: Hostalongipes(Franch. & Sav.) Matsum.

3. 이명: 지부, 자부.

4. 원산지 및 분포지: 한국. 중국, 일본

5. 생약명: 자옥잠.

6. 사용부위: 전초.

7. 유효성분: 사포닌.

8. 채취: 3.

 

 

 


9.
조제 및 이용 방법

 

조기화혈, 보혈, 허약, 여성병, 유정, 토혈, 인후홍종.

 

자옥엽 : 붕루대하, 궤양

잎즙 : 젖알이, 중이염

자유 : 만성 피부궤양

근즙 : 임파선, 결핵

: 이기보혈, 화혈, 지통, 인후종통, 치통, 위통, 혈붕, 대하, 옹저, 나력.

 

나물 : 물에 데쳐 우린 후 사용한다.

 

 

비수리 Sericea lespedza

 

 

 

▲ 출처=한국학술정보㈜


1.
생태적 특성

 

노우근(老牛筋호지자·산채자·야관문이라고도 한다. 산기슭 이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고 짧은 가지는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높이 50100cm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온 겹잎이다. 작은잎은 줄 모양의 거꾸로 세운 듯한 바소꼴이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산형(傘形)으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받침은 밑까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각 갈래조각에 1맥이 있다. 꽃잎은 흰 바탕에 자줏빛 줄이 있고 기판(旗瓣) 중앙은 자줏빛이다. 10개의 수술 중 아래쪽 9개는 합쳐진다. 꼬투리는 편평한 달걀 모양이고 털과 그물맥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한국·일본·타이완·인도·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2.
학명: Lespedeza cuneataG. DON

3. 이명: 야관문, 노우근, 산채자, 호지자.

4. 원산지 및 분포지: 한국, 타이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5. 생약명: 철소파(鐵掃把), 마추, 삼엽초(三葉草), 백마편(白馬鞭).

6. 사용부위: 전초.

7. 유효성분: 꽃이 피면 주로 페놀종류의 성분, 플레보노이드(flavonoid)와 피니톨(pinitol)이 있고 탄닌이 있다.

8. 채취: : 여름, 가을.

 

 

 


9.
조제 및 이용 방법

 

콩팥, , 진해소종, 유정(遺精), 야뇨증, 소변이 희고 걸쭉한 증세, 위통, 아랫배가 붓고 아픈 증세, 기침과 천식, 어린아이의 빈혈증, 안질, 젖에 생기는 악성종기, 정력.

 

사용부위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꽃이 피고 있을 때에 뿌리째로 캐내 햇볕에 말리거나 생잎을 찧어서 쓰기도 한다. 쓰기 전에 잘게 썬다.

 

약효

콩팥을 보해주고 간에 도움을 주며 천식을 가라앉힌다. 그 밖에도 진해와 소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정(遺精-성행위도 없이 모르는 사이에 정액이 흐르는 증세), 야뇨증, 소변이 희고 걸쭉한 증세, 위통, 아랫배가 붓고 아픈 증세, 기침과 천식, 어린아이의 빈혈증, 안질, 젖에 생기는 악성종기 등의 질환을 다스리는 데 쓴다.

 

용법

1회에 말린 것 5~10g200cc의 물로 달여 복용한다. 하루 3회 복용하는 것으로 하루 용량은 15~30g이 되는 셈이다. 젖에 생긴 악성종기는 생잎을 짓찧어서 붙이고 안질은 약재를 달인 물로 닦아 낸다.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PHOTO NEWS
“건강한 식탁 채워 줄 신선한 농산물 가득” 시흥시 농부장터 개장
이전
1/10
다음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